UIUX 가 뭐지? 서버? 클라, 프레임워크 API,, 대체 뭐라는거지?
서비스 기획자로 근무하며
다양한 부서와 소통을 하게 되는데 소통 지분의 대부분이 개발 부서다.
개발 부서와의 소통 이해도를 올리는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자주 쓰는 단어들이지만 약자의 의미는 잘 몰랐던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일하면서 틈틈히 기록해놓은 것들과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지식' 책을 보며 체크해 둔 기본적인 용어들을 적어보고자 한다.
(만약 IT 분야를 준비하고 있다면 한번쯤 읽어볼만한 좋은 도서이다)
* : 참고
PC | Personal Computer |
요즘날 컴퓨터를 부르는 명칭 | |
OS | Operating System |
운영 체제. * 대표적으로 PC엔 윈도우, 맥OS가 모바일엔 안드로이드(AOS), IOS(애플OS) 가 있음 |
LAN | Local Area Network |
네트워크 종류, 소규모 네트워크. 빠르고 안정적. * 집 Wi-Fi, 사무실 네트워크, 학교 컴퓨터실 |
|
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
여러 LAN을 하나의 도시 규모로 연결. * 대학 캠퍼스 전체 네트워크, 서울 시청–구청망 |
|
WAN | Wide Area Network |
가장 큰 규모. 인터넷도 WAN의 일종. * KT/SKT 등 통신사망, 글로벌 기업망, 인터넷 |
|
Wi-Fi | Wireless Fidelity |
무선으로 LAN(Local Area Network)에 접속하는 기술 |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페이지의 뼈대(구조)를 만드는 언어 | |
CSS | Cascading Style Sheets |
웹페이지의 디자인(모양, 색, 글꼴)을 담당 |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웹페이지에 동작(인터랙션)&기능을 추가 |
WWW | world wide web |
웹사이트를 지칭하는 도메인 앞부분에 붙는 서브도메인. 예전에는 거의 모든 웹사이트가 www를 붙였지만, 지금은 없어도 접속 가능. * 다만 기술적으로 다른 주소이기에 리디렉션(자동 연결)을 잘 설정해야 SEO(검색 최적화)에도 좋음. |
|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 *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아 정보가 중간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 |
|
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 보안(SSL/TLS 암호화) 기능이 추가된 통신 규약. * 주소창에 🔒 자물쇠 아이콘 표시됨 |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웹사이트를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한 주소. 브라우저나 프로그램이 어떤 리소스를 어디서 찾을지 알려줌.* '건물의 실제 주소(도로명 주소)'와 같음 |
|
IP | Internet Protocol Address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장치(서버 포함)에 부여된 고유한 숫자 주소. * 통신에 사용되는 주소로 '건물의 정확한 좌표(GPS)'와 같음 |
|
DNS |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 URL → DNS → IP → 서버 접속 순으로 진입하는 형태 |
|
WAF | Web Application Firewall |
웹방화벽.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화벽 (Firewall)과는 달리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특화되어 개발된 솔루션 |
클라이언트 | Client |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프로그램이나 기기. * 요청의 출발점. 사용자(혹은 사용자 기기) 요청을 보내는 주체 |
|
서버 |
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는 중간 관리자. * DB에서 정보 찾음 |
|
DB | Data Base |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소. |
|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 관계형(DBMS): MySQL, PostgreSQL |
CRUD |
Create, Read, Update, Delete |
데이터 처리의 기본 4가지 동작 (쓰기, 읽기, 고치기, 지우기) | |
메소드 |
Method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어떤 작업을 원하는지 지정 | |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약속된 통신 방법.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교환 통로 |
|
RESTful API |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효율적으로 만들어진 API 설계 방식. 아래와 같은 메소드를 붙여 전송함. * Create(생성): POST Read(요청): GET Update(변경): PUT(전체)/PATCH(일부) Delete(삭제): DELETE |
|
파라미터 |
Parameter |
서버에 추가 정보를 전달하는 요청 부속 정보 * 주로 URL에 쿼리 파라미터나 경로 파라미터 형태로 포함되어 API에 전달됨 |
|
JSON |
JavaScript Object Notation |
데이터를 표현하고 주고받기 위한 형식. 대괄호로 배열을 표시한다. 예) { "name": "민수", "age": 25 } |
|
SDK | Software Development Kit |
특정 기능을 앱에 쉽게 붙이도록 도와주는 도구 세트. API를 제공해주는 다른 소프트웨어. * SNS 로그인 SDK, 구글 지도 SDK등이 대표적 |
|
HTTP 상태 코드 | HTTP 의 응답 상태 코드 목록이다. IANA ( 인터넷 할당 번호 기관 )에서 HTTP 상태 코드의 공식 레지스트리를 유지 관리중. * 대표적인 것만 알아두면 좋다 200 : 성공 코드 400 : 클라 요청에 문제가 있는 경우 500 : 서버 문제가 있는 경우 |
프레임워크 | 앱/웹을 만들기 위한 기본 틀과 규칙을 제공하는 시스템 * 프론트 쪽에선 React 와 Vue.js가 있고, 백엔드 쪽에선 자바의 스프링과 파이선의 Django가 있음 |
라이브러리 | 특정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도구 모음 * 이미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걸 가져다 쓰는 형태라 버튼 등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붙일 수 있음 |
UI |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조작하는 모든 화면 요소 | |
UX |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며 느끼는 전체적인 만족도와 경험 | |
커밋 | Commit : 저장 |
코드 작업 내용을 저장하고 기록하는 것. 협업 중인 프로젝트에 “이 날, 이 사람이 어떤 작업을 했는지” 남기는 것 | |
머지 | Merge : 병합 |
다른 사람이 작업한 코드(브랜치)를 현재 작업에 합치기 | |
브랜치 | Branch : 가지 |
메인 작업에 영향 없이 따로 작업하는 분기점. 실험하거나 새 기능 개발할 때 사용 | |
리젝 | Reject : 거절 |
앱 스토어(예: Apple App Store, Google Play)에서 앱 심사에 통과하지 못했을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 | |
INIT | Initialization : 초기화 |
초기화가 필요할 때 사용됨 | |
BSOD | Blue Screen of Death : 블루스크린 |
Windows에서 치명적인 시스템 오류 발생 시 나오는 파란 화면. | |
FTC | File Transfer to Citrix |
로컬 PC에서 망간(Citrix 환경)으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그램 |
HIG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Apple에서 제시하는 iOS/macOS 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 |
구글 머티리얼 디자인 | Google Material Design |
Google에서 만든 안드로이드 디자인 시스템. | |
플로팅 | Floating |
화면에 떠 있는 UI 요소. 주로 버튼, 배너 및 메뉴가 화면 위에 고정되어 유동적으로 동작함. | |
브래드 크럼 |
Breadcrumb |
현재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UI 요소. * 예) 홈 > 마이페이지 > 설정 |
GeoIP | Geographical IP |
사용자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위치(국가, 도시 등)를 파악하는 기술 | |
CTA | Call To Action |
사용자가 클릭·구매·가입 등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요소 | |
Wiki | 약자 X. Wiki는 하와이어 "위키위키(wikiwiki)"에서 온 말. 빠르다는 |
팀 내부에서 지식이나 작업 내용을 정리·공유하는 협업 문서 공간 | |
CMS |
Content Management System |
자료, 문서, 공지사항, 이미지, 업무 매뉴얼 같은 콘텐츠들을 만들고, 수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 |
MVP | Minimum Viable Product |
필수 기능만 포함된 최소 기능 제품으로, 빠르게 피드백 받기 위한 단계. | |
아이데이션 | 아이디어+커뮤니케이션이 합쳐진 단어 |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발산하고 발전시키는 브레인스토밍 회의 | |
캐시 | Cache |
자주 쓰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빠르게 보여주는 장치 | |
트래픽 | Traffic |
웹사이트나 앱에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접근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
히트 | Hit |
서버나 페이지에 요청이 들어온 횟수. 트래픽보다 더 세부적인 단위 |
모든 it 업계 종사자, 준비자 모두 화이팅이다!
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CRUD (0) | 2024.09.11 |
---|---|
시스템 폰트와 웹폰트의 장단점 (1) | 2024.09.08 |
GA4 자주 사용하는 용어, 헷갈리는 항목 알아보기 (총 사용자, 활성 사용자와 사용자, 새 사용자, 재 사용자) (1) | 2024.08.30 |
GA4 용어 정리 - 1. UA와 GA4의 차이, 세션이 가지는 의미란? (1)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