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20일

TIL

by PO/PM-Sky 2024. 8. 21. 00:21

본문

 

'sky님. 요 페이지에서 검색할 때 띄어쓰기 구분을 하고 있는데, 구분 없이 출력되면 좋을 것 같아요!'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획자로써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이 중요하는 것을 다시한번 상기시킨 하루였는데

서비스 기획자로 있다보면 이따금 위와 같이 개선 문의나 cs, 의견이 종종 들어오게 된다.

 

 

이 때 진행하는 플로우는 문제 인지 > 개선이 필요한 상황인지 확인 > 개선 가능한 방향이 있을지 확인 > 개선안 진행 > 개선으로 확인하고 있다.

 

문제인지)

'서비스 기획자'를 검색했을때와 '서비스기획자'를 검색했을때 검색 결과가 같길 희망하는 것이다.

니즈 파악이 되었다면, 구현 방식을 고민한다. 띄어쓰기 구분없이 검색하는 방향으로 개선시 우리가 얻게 될 리스크는 무엇인지 파악해본다.

 

- 검색 정확도 저하

- 불필요한 검색 결과 확장

- 성능 부하 

등.. 고려해야 할 리스크가 많아진다.

 

개선 가능한 방향 고민)

그렇다면 기능적으로 개선 가능한 방법이 있는지를 고민하였고 자동 완성 기능을 도입하는건 어떨지를 생각해봤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목적이 빠져있었다. 바로

사용자가 어떤 검색어 때문에 혼선이 발생해 위와 같은 문의가 들어온건지 파악이 필요했다는 것 ;;

 

만약 안내되고 있는 공식 명칭이 '서비스 기획자'인데 '서비스기획자'로 자꾸 검색을 시도하여 불편함이 생긴 것인지 등

상황을 먼저 파악했어야 하는데 놓쳤고 그 결과 시간을 들여 엄청난 기능을 고민하게 되었던 것이다 ㅠㅠ

 

우리 서비스는 검색 엔진 서비스가 아니라 자동 완성 기능같이 고도화된 검색 기능까지는 고려가 불필요한 상황이었다.

해당 안을 들고 개발팀에 확인하러 갔다면 아마 많은 적이 생겨났을꺼다.

 

개선안 진행)

다행히도 이러한 부분은 팀장님이 바로잡아주셨고,

유저가 헤메는 검색어들과 잘못 검색하고 있는 수치를 먼저 뽑아 데이터를 확인한 후 방향을 결정하기로 하였다.

 

정말 간단하게 본문에 헷갈리던 검색어를 넣어놓는 방식을 써서 개선을 해볼 수도 있는 방법도 있던 것이다.

(왜.. 나는 자꾸 기능에 매몰되는지... 아쉬운 하루였다)

 

 

오늘 배운 것)

다음번은 현재 상황에서 해결 가능한 최선의 안을 먼저 생각을 해볼거다.

현재 상황으로 정 안되면 기능 구현으로 넘어가는 순으로 업무를 파악해보려 한다.

그렇게 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지 않을까

 

더보기
썸네일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28일  (0) 2024.08.29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21일  (0) 2024.08.22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9일  (0) 2024.08.20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8일  (0) 2024.08.18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6일  (0) 2024.08.1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