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6일

TIL

by PO/PM-Sky 2024. 8. 18. 00:51

본문

 

인트로)
서비스 기획자로써 글로벌을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는건 아주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지금의 우리 회사를 처음 입사했을 때 나는 내부 툴 위주로 업무를 진행했었다. (대표적으로 그룹웨어, 채용 툴이 있었다) 
그러다 현재는 라이브 서비스와 관련된 업무들를 진행하고 있는데, 내부 툴에선 경험할 수 없었던 다양한 상황 및 문제들과 직면하게 되면서 서비스 기획자로써 바운더리를 넓혀가고 있는중이라는 생각을 종종 한다.
오늘 TIL는 글로벌 서비스를 하고 있는 분야라면 이미 경험을 해봤거나, 고려하고 있는 부분일 수도 있다.

 

TIL 1. 번역 키 수정 진행시 태그 적용 여부 이슈

 

배경) 우리는 국내 기업에서 해외로 수출되기 시작한 케이스라 모든 업무가 국문 위주로 진행되는데 로컬라이제이션도 포함된다.

문구가 노출되는 곳에 사용할 번역 키들을 만들어두고, 해당 키에 국문들을 관리 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 문제 발생

라이브 서비스에 문구 수정이 필요한 상황이 생겨 수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특이사항이 발생하였다.

해당 문구 옆에 컨텐츠가 바로 있어 문구가 길어질 경우 줄바꿈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이 생겼다.

우리는 개행이 필요한 경우 국문에 개행 코드를 넣어 적용되도록 한다. 오늘도 동일하게 사용할 개행 코드를 넣어 국문 수정을 진행하였으나

코드가 적용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출력이 되어 보여지는 상황이 생겼다.

 

  • 내가 시도한 것

개행에도 pc뷰에서만 개행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mo에서만 필요한 경우가 있지 않은가?

오늘같은 상황에선 pc에서만 개행이 필요하여 pc전용 개행 코드를 사용하였고, 사용하기 전 해당 개행 코드를 해당 키에 사용해도 되는지 프론트팀과 확인도 마쳤었다.

 

  • 해결한 방법

현재 상황을 프론트팀에 공유하고 원인을 같이 확인해봤더니 짜여진 구조의 문제로 확인이 되었는데

해당 번역키는 원문 그대로 출력하는 옛날 코드가 씌워져 있어 태그가 적용이 안되고 원문 그대로 노출이 되는 거였고,

태그 적용되는 코드(html.row)로 씌워지도록 수정 진행하였다.

 

  • 새롭게 알게 된 것

우리 서비스는 역사가 꽤 있는만큼 옛날 작업들이 공존하여 발생하는 사이드 이펙트를 무시 못하는데 오늘같이 상황을 예로 들 수 있을 것 같다. 다음엔 태그 사용이 필요한 경우 html.row로 감싸져있는 번역키가 맞는지 한번더 체크해 봐야겠다.

 


TIL 2. 메일 주소록 등록시 ZeroBounce API 에러 메세지 노출

 

  • 문제 발생

우리 회사는 메일 발송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주소록 관련하여서는 ZeroBounce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주소록을 직접 .csv 파일로 업로드 후 유효성 검증하여 사용하는 과정도 있는데 이 때 유효성 검증 단계에서 api 에러메세지가 뜬다는 cs가 접수되었다.

 

  • 내가 시도한 것

일전에도 해당 메세지를 확인했던 기억이 있어 슬랙을 뒤져봤다.

총 두가지의 상황에서 해당 에러 메세지가 뜨는걸 확인했고, 문의를 넣어준 부서와 확인해봤다.

1. 업로드 한 파일 내에 이메일 주소가 정확한가

    -> 주소에 공백이 포함되어있는지, @가 빠져있는지.

    (공백 같은 경우 이미 시스템상 업로드시 앞,뒤 공백을 지워주고 있음. 단, 중간에 포함되어있으면 문제 발생)

2. ZeroBounce 크레딧이 다 떨어졌는가 

   -> 이 경우엔 크레딧 충전을 하면 해결된다

 

해당 파일을 직접 확인해본 결과 위 두가지 상황에 모두 부합하지 않아서 개발팀의 도움을 받았다.

 

  • 해결한 방법

개발팀에서 확인을 해보니, ZeroBounce에서 어느순간부턴가 넘겨주는 컬럼의 명칭이 달라진 것. 그 때문에 우리 시스템에서 읽지 못해 일전에 유효성 검증을 한번이라도 안한 주소가 있을 경우 에러를 뱉어내고 있는 것이였다.

사실 명칭이 아예 달라진 건 아니고 대/소문자가 달라진 건데, 우리가 대/소문자를 구분해서 인지하고 있도록 되어있어 문제가 발생하였다.

(ZB Sub Status -> ZB Sub status)

해결은 대/소문자 구분 없이 인지하도록 코드 개선을 진행하였다

 

  • 새롭게 알게 된 것

ZeroBounce 크레딧을 우리팀에서 관리하고 있는 걸 알게 되었다. 관련 문의가 들어오면 한층 더 수월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타사 서비스를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할 때는 사전에 미리 컬럼명은 대/소분자 구분없이 인지하거나, 보낼 수 있도록 설계시 고려하면 좋을만한 인사이드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더보기
썸네일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9일  (0) 2024.08.20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8일  (0) 2024.08.18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5일  (0) 2024.08.15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4일  (0) 2024.08.15
서비스 기획자 TIL - 8월 13일  (0) 2024.08.14

관련글 더보기